본문 바로가기
What is it?/생활정보

얀센 접종자 부스터샷 , 얀센 추가접종 8시부터 예약

by 엘이비컴퍼니 2021. 10. 28.

안녕하세요;)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은 11~12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백신 추가접종 계획을 포함한 백신 접종 시행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방역당국은 국내 50대와 기저질환자, 얀센 백신 접종자가 코로나19 추가접종(부스터샷) 대상자로 선정했습니다.

 

특히 얀센 백신을 맞고 2개월이 지났다면 메신저 리보핵산(mRNA) 플랫폼인 화이자 또는 모더나 백신으로 추가접종할 수 있습니다. 

 

 

 

 

 


얀센 접종자, 11월 8일 접종, 나머지 대상자 11월 1일 예약 15일 접종

얀센 접종자는 10월 28일 오후 8시부터 사전예약을 진행하고 11월 8일부터 접종을 합니다. 50대 연령층과 보건의료인, 경찰, 소방, 군인 등 사회 필수인력은 접종 완료 후 6개월이 지났다면 추가접종을 받습니다. 

 

부스터 샷은 3단계로 나누어 진행이 되는데

  • 1단계 기존 10월부터 추가 접종을 실시하고 있는 면역저하자, 60세 이상 고령층, 코로나19 치료병원,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요양병원, 요양시설, 감염취약시설 입소 및 종사자 등
  • 2단계 고위험군은 11월부터 추가접종을 실시. 2단계 대상에 50대 연령층, 18~49세 기저질환자, 얀센백신 접종자, 우선접종 직업군 등 
  • 3단계는 일반국민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됨

 

부스터샷 (추가접종)

백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일정 시일이 지난 뒤 추가 접종을 하는 것

 

 

비교적 높은 치명률에 속하는 50대 연령층은 접종 완료 후 6개월 경과자를 대상으로 추가접종을 실시합니다.  50대 접종 완료자 약 791만 명 중 4분기 접종 대상은 28일 0시 기준으로 약 32만 명입니다. 


또한 내분비 장애, 심혈관 질환, 만성 신장 질환, 만성호흡기 질환, 신경계 질환, 소화기 질환 등을 갖고 있는 기저질환자는 코로나 19 감염 시 중증, 사망 위험이 높아 추가 접종이 필요합니다. 

얀센 접종자는 148만명으로 높은 돌파감염을 보이고 있고, 접종자 대부분이 활동이 큰 청장년층임을 고려해 추가접종을 실시한다고 합니다. 

앞서 면역저하자, 60세 이상 고령층, 코로나19 치료병원·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종사자, 요양병원·요양시설·감염취약시설 입소자 및 종사자 등 369만명을 추가접종 우선 대상자로 삼고 이달부터 접종에 들어갔습니다. 이들 중 접종 완료 6개월 경과자는 추가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11~12월 추가접종 신규 대상자는 205만명 이상


얀센 백신 접종자는 10월 28일 오후 8시부터 예방접종사전예약시스템에서 예약을 시작하고, 11월 8일 접종합니다. 50대와 기저질환자, 우선접종 직업군은 11월 1일 오후 8시부터 예약하고 15일부터 접종합니다.  

잔여백신을 이용하는 경우는 예비명단을 활용해서 11월 1일부터 추가접종이 가능해집니다. 네이버, 카카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당일 예약을 통한 추가접종은 11월 중순부터 가능합니다. 

 

 

추가접종 백신 화이나 또는 모더나, 기본 접종 떄 맞은 백신으로 접종 원칙

 

기본적으로 mRNA(메신저 리보핵산) 계열의 화이자 또는 모더나 백신으로 추가접종을 하게 되는데, 될 수 있으면 앞서 사용한 백신과 동일한 백신을 쓰는 것이 권고됩니다. 얀센 백신 접종자가 원할 경우 얀센으로 추가접종이 가능하지만, 보건소로 연락해 얀센 접종력을 사전에 확인받은 후 가능합니다. 



한 사람이 총 3회 접종할 경우 3종의 백신을 쓰는 것은 권고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1차 접종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2차 접종을 화이자 백신으로 했다면 3차 접종에서는 화이자 백신을 접종하게 되며, 접종 용량은 모더나 백신일 경우 기본 접종 용량의 절반으로 시행, 그 외 백신은 기본 접종과 동일한 용량으로 실시합니다. 

 

접종 간격은 기본 접종 완료 후 6개월이 지난 후부터 가급적 8개월 이내 추가접종을 시행하며 다만 국외 출국, 질병 치료 등의 계획이 있다면 기본 접종 완료 후 6개월을 기준으로 4주 전부터 추가접종이 가능합니다. 


맺음말

 

단계적 일상회복을 앞두고 백신 부스터샷 예약과 접종이 시작되었는데요, 백신 접종으로 인한 후유증 및 부작용 사례도 많아서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백신 1차, 2차 접종 후 자신의 건강상태도 충분히 고려한 후 그에 맞춰 추가접종을 선택해야 할 듯합니다. 

 

 

 

 

 

댓글